전체보기144 [시사라디오] 일본의 진퇴양난과 한일 무역분쟁 결과 "시사라디오" 에서는 매주 월요일 아침 코너에 출연한 이상석 교수의 주요 경제 이슈와 현안에 대한 진단을 전해드립니다. 2021. 3. 7. 브랜드(Brand) : 기업의 '창'이자 '방패'가 된다. 박찬호에서 류현진으로 이어진 한국 야구 브랜드 효과 박찬호의 메이저리그 성공 이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선수들의 메이저리그 내 활약은 미미하였다. 추신수가 미국의 야구 시스템 내에서 자생적 적응을 마치고 엄청난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하지만 그의 성공이 한국 야구 수준이 경쟁력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려웠다. 이때, 한국 프로야구 수준에 대한 미국 내 평가에 직접적인 변화를 준 선수가 류현진이다. 국내 프로야구를 평정한 뒤, 메이저리그에 진출할 당시 우려와 기대가 뒤섞인 반응이었으나 보란 듯이 잘 적응하며 토종 프로야구 선수도 메이저리그에서 통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게 된다. 최근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김하성이나 양현종 역시 류현진의 성공 이후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이 한국 프로야구 시장에 관심.. 2021. 3. 3. 기업 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 : 착한 기업이 돈을 번다 나날이 기업의 윤리성이 기업 그 자체의 가치로 평가받는 시대가 되어감을 느낍니다. 기업 윤리와 관련한 원고 내용이 있어 공유합니다. 과거는 '착한 기업이 돈을 번다?' 였다면, 현재는 '착한 기업이 돈을 번다!'의 흐름으로 바뀌는 상황입니다. 기업의 존재 이유 : 패러다임의 전환 기업 윤리와 관련한 이슈는 우리 사회의 큰 아젠다(agenda)로 부상하였다. 격세지감(隔世之感)을 느낄만한 것도 한 것이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큰 목표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이구동성으로 ‘이윤추구’라고 외쳤던 시기가 불과 이십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, 최근엔 사회적 가치를 더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입장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. 분명 기업은 돈을 벌어들이기 위해 존재하는 특수한 조직이며, 원활한 자금.. 2021. 2. 27. [시사라디오] 금융위 & 금감원, 개혁이 필요한 시기 "시사라디오" 에서는 매주 월요일 아침 코너에 출연한 이상석 교수의 주요 경제 이슈와 현안에 대한 진단을 전해드립니다. 2021. 2. 21. 이전 1 ··· 18 19 20 21 22 23 24 ··· 36 다음